인사이트
인사이트 탭에서는 API 데이터에 대한 일반적인 보기를 제공합니다. 이 메인 허브에서 API 요청, 서명 요청 상태, 서명 요청 사용을 그래프로 정리하여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상단의 드롭다운을 사용하여 데이터 유형, 날짜 범위 및 오류 상태(API 오류 분포, 엔드포인트 또는 HTTP 상태)별로 이 데이터의 타임라인 보기를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앱 및 계정 활동에 대한 로그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사이트 탭에서 할당량 사용량(남은 서명 요청) 및 청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명 요청 상태
서명 요청 상태 탭에서 문서 ID, 서명 요청 상태, 이벤트 날짜 및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의 정보는 페이지 상단의 드롭다운을 사용하여 날짜 및 서명 요청 상태별로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앱 콜백
앱 콜백 탭을 사용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상호 작용을 설정하고 모니터링하여, 삽입된 기능의 활용도를 자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앱 콜백은 특정 앱과 관련된 프로그래밍된 작업(이벤트라고도 함)이 발생할 때 트리거됩니다. 이 탭에 수집된 정보에는 삽입된 요청만 표시됩니다.
콜백에 대한 내용과 Dropbox API 대시보드에서 콜백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계정 콜백
계정 콜백 탭을 사용하면 서버 이벤트를 설정하고 모니터링하여 워크플로를 간소화하고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계정 콜백은 계정과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즉 이벤트에 포함된 전체 데이터가 생성될 때 이벤트 페이로드를 계정 콜백 URL로 전송하여 앱에 알립니다.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여 날짜 및 이벤트 유형별로 계정 콜백을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계정 API 호출을 사용하거나 설정 페이지에서 수동으로 계정 콜백 URL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콜백에 대한 내용과 Dropbox API 대시보드에서 콜백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API 요청
API 요청 탭에서는 전송된 요청의 기능에 대한 스냅샷을 제공하므로 요청 오류를 빠르게 검색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상단의 드롭다운을 사용하여 날짜, HTTP 상태, 메서드, 엔드포인트별로 API 요청을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HTTP 코드는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상호 작용 상태를 나타냅니다. API 대시보드를 사용하면 HTTP 상태 코드별로 요청을 필터링하여 주의가 필요한 요청과 의도대로 작동하는 요청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HTTP 상태를 이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formational 상태는 서버가 아직 요청을 완료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코드 100-199).
- Success 상태는 서버 요청이 오류 없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합니다(코드 200-299).
- Redirectional 상태는 요청이 수신되었지만 다른 곳으로 리디렉션되었음을 나타냅니다(코드 300-399).
- Client error 상태는 해당 페이지에 연결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웹사이트 측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일반적으로 페이지가 사이트에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코드 400-499).
- Server error 상태는 유효한 요청이 이루어졌지만 서버가 예상대로 요청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입니다(코드 500-599).
메서드별로 서명 요청을 필터링할 수도 있습니다.
- GET은 리소스를 검색하거나 읽는 데 사용됩니다.
- POST는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 DELETE는 리소스 전체를 삭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 PUT은 리소스 전체를 수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 PATCH는 리소스의 일부를 수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엔드포인트별로 요청을 필터링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세요.
- 이 보기에 필요한 다른 요청 매개변수(날짜, HTTP 상태, 메서드)를 생성합니다.
- 엔드포인트를 클릭합니다.
- 사용자 지정을 클릭합니다.
- 적용 가능한 엔드포인트 옆에 있는 상자를 클릭합니다.
- 적용을 클릭합니다.
엔드포인트 목록은 서명 요청 개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명 요청 사용
서명 요청을 사용하면 서명자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 사용자 정의 필드, 메타데이터, 응답 데이터 그리고 요청이 생성되고 완료된 시점의 타임스탬프 등의 요청별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날짜별, 클라이언트 ID별로 사용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